본문 바로가기
일반사회

산수문학의 역사적 이해

by 철학가필로^*^ 2022. 9. 7.
반응형

우리나라 산수문학의 역사적 부분에 대해 공부해 봤습니다. 고전문학에서는 산과 물이 자연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어떤 문학적 지식을 얻을수 있는지 역사적 관점에서 관찰해 봤으며 필요한 내용만 정리합니다. 

 

 

 

 

산수문학의 역사적 이해

 

1. 삼국시대의 산수문학

 

1-1. 물계자

산속에서 은둔생활을 하면서 산과 물을 즐기며 노래했던 사람은 신라시대 물계자이며 가장 최초로 이런 시도를 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세속의 욕심을 모두 던져 버리고 산속으로 들어가 물가에서 흐르는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거문고를 타면서 일생을 노래를 지으며 불렀던 일생을 상상할수 있습니다. 

 

 

1-2. 고운 최치원

산수에 묻힌 이후로 불교의 깊이를 공부하였고 오로지 미적 대상으로만 생각한 점에서, 공리적 목적을 배제한 마음을 들여다 볼수 있습니다. 

 

참조할만한점은 산수생활을 통해 자아성찰을 이루려 했으며 인생에 있어서 좀더 변화된 모습으로 변화하고자 한 마음을 생각해 봐야 할 것입니다. 

 

결국 이런 생활이 있었기에 그 시대의 산수문학을 알리고 지금 그 의미를 고찰해 볼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산과물
산과물

 

2. 고려시대의 산수문학

 

고려전기 귀족들은 경치가 훌륭한 곳에 별장을 짓고 이곳에서 세상의 근심걱정을 털어 버렸습니다. 또한 연회를 베출고 즐거움을 추구하는 이러한 생활이 매우 보편화 되었다는 모습을 볼수 있었다 합니다. 

 

하지만 이자연과 곽여의 경우 이러한 자연친화적인 삶을 즐기되 유학자로서의 고유한 본분을 잃지 않고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다는 모습 또한 눈여겨 볼만 했습니다. 

 

 

 

 

3. 조선시대의 산수문학

 

사회적 가치와 본질에 반하는 행위를 강요받는다면 언제든 벼슬을 버리고 산수로 떠나 있었다라는 표현을 봤을때 사림이 추구하는 이상을 볼수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산수를 찾는 의미는 세속에서 벗어나 고독한 인생과는 차이가 있으며 선비의 고상함을 근간으로 올바른 가치관 정립과 실천의 인식에 초점을 두어야 할것 같습니다. 

 

▶ 산수에 관한 시각에 기여한 인물

  • 농암 이현보
  • 퇴계 이황
  • 송제 나세찬
  • 송안 권호문
  • 율곡 이이
  • 고산 윤선도

 

 

반응형